[교육학개론] 7. 교육평가의 이해

[학습목표]
  1. 교육평가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다.
  2. 교육평가에 대한 세 관점(측정관, 평가관, 총평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교육평가의 유형을 분류하는 다양한 기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교육평가 모형의 종류 및 각 모형별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 교육평가의 의미]
  • 평가(Evaluation)
    • 가치를 평하거나 가치를 매기는 활동이다.
    • 어떤 대상(사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 교육평가(Educational Evaluation)
    • 교육과 평가를 합친 말이다.
    • 교육과 관련한 현상이나 활동 등의 제반 사상에 대해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가. 교육평가의 의미 변화]
  • 타일러 이전 시대: 1792 - 1930
    • 측정이나 검사를 의미한다. 시험이나 검사를 치른 후 수량화된 점수를 산출한다.
    • 점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교육평가는 시험이나 검사도구를 활용한 측정을 의미한다.
  • 타일러 시대: 1930 - 1945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를 연계해 교육평가를 교육과정의 일부로 이해한다.
    • 교육평가는 교육활동이 교육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가를 확인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 타일러 이후 시대: 1946 - 현재
    • 교육평가에 대한 관심. 다양한 평가관과 모형을 제시하고 평가대상 및 방법을 확대한다.
    • 교육문제를 해결하고 교육수준을 높이려는 활동을 제시했다.
        [1. 타일러 이전 시대 (1792 - 1930)]
    • 1792년: Ferish가 시험 결과를 점수로 표기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 1845년: 보스턴에서 학생의 지필검사 점수를 이용한 학교평가를 실시했다.
    • 1887 - 1898년: Rice에 의해 철자법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철자법 시험을 실시했다.
    • 1900년대 초반 전후: 심리학 영역에서 측정도구 개발
      • 20~30년대에 이르기까지 '검사운동'이 유행했다. 이 시기에 다양한 교육심리 검사들이 개발되었다.
    • 이에 맞추어 교육평가의 의미는 시험이나 검사도구를 활용한 측정이 되었다.
        [2. 타일러 시대 (1930 - 1945)]
    • 1930년: 타일러가 '교육평가'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 1930 - 1945년: 타일러의 시대(Tylerian age)
      • 전통주의 교육으로부터의 탈피를 위한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전개했다.
    • 1933 - 1941: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8년 연구
      • 평가전문가로 참여한 타일러는 평가를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간주함으로써 교육과정과 교육평가를 연계했다.
      •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설계법'을 개발·활용
    • 이에 맞추어 교육평가의 의미가 교육활동을 통해 교육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가를 확인하는 활동이 되었다.
        [3. 타일러 이후 시대 (1946 - 현재)]
    • 시대적 상황과 교육의 새로운 전환기
      • 스푸트니크 충격(1957)
        • 1957년 소비에트 연방이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에 성공하면서 미국이 받은 과학기술·교육부문의 충격을 말한다.
      •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교육 투자를 확대에 교육의 새로운 전환을 맞는다.
      • 평가의 새로운 방향을 촉구해 다양한 평가 모형이 등장한다.
      • 평가가 교육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려는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정착하였다.
      • 1965년 이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보고서를 매년 제출했다.
    • 이와 같이 교육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자 다양한 평가관점 및 모형을 제시하였고 평가의 대상 및 방법이 확장되었다.
    • 이에 맞추어 교육평가의 의미가 교육문제를 해결하고 교육수준을 높이는 활동으로 변하게 되었다.
    [나.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해석]
  • 교육목표가 얼마나 실현되었는지 그 정도를 밝히는 과정
    • Tyler식 개념, 193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학교교육현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는 160년대부터 도입되었다.
    • 교육목표 실현 정도에 초점을 맞춘다.
  • 교육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및 그 과정
    • 우등상 수여를 위한 학생 선정,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학생 선발 등의 교육관련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 최종 결정은 의사결정자의 몫이다.
    • 평가자와 의사결정자의 역할 분리에 초점을 맞춘다.
  • 교육과 관련된 어떤 대상의 장점, 질, 가치 등을 판단하는 과정
    • 평가기준 설정, 관련정보 수집, 평가기준 등을 적용하여 가치, 유용성, 효과, 중요성 등을 판단한다.
    • 평가자의 전문적 판단에 초점을 맞춘다.
[2. 교육평가에 대한 관점]
    [가. 측정관]
  • 측정이란 대상의 일정한 특성을 수량화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인간특성의 안정성에 초점을 맞춘다.
  • 교육평가란 학습자의 지적 능력, 정의적 특성, 학습 결과 등을 검사도구를 통해 양적으로 측정해내는 것이다.
  • 인간 특성의 안정성 전제
    • 인간의 행동특성은 고정적, 불변성, 안정성을 지닌다. 따라서 도구를 통해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 환경을 측정의 정확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간주한다.
  •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측정 도구 및 절차의 표준화
    • 언제나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측정 절차의 표준화를 도입한다.
  • 측정 결과는 주로 학습자 분류, 선발, 예언 등에 이용된다.
    [나. 평가관]
  • 학습자의 변화가능성 전제
    • 존재하는 모든 실재나 인간의 행동특성은 변화한다고 본다.
    •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일련의 절차이다.
    • 수업 활동을 통한 학습자 행동의 변화에 관심을 갖는다. 최소 두 시점의 검사를 필요로 한다. (수업 받기 전, 수업 받은 후)
    • 학습자의 변화는 우연이나 자연적 변화가 아닌 수업활동을 통한 행동의 변화이다.
  • 환경은 학습자의 변화를 촉발할 수 있는 교육적 자원
    • 개인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방법, 학습활동, 교사특성, 지원체제, 학급 및 학교 풍토에 대한 탐색을 중시한다.
  • 평가결과는 교수방법, 수업과정, 교사의 활동,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및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다. 총평관]
  • 다양한 측정 결과를 통하여 한 개인이나 대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조명하려는 전인적 평가이다.
  • 인간행동의 변화가능성 전제 & 환경의 영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 개인과 환경의 상호역동적인 관계에 주목해 환경은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주체이다.
  • 총평의 분석방법
    • 개인이 달성해야 할 과제 및 준거, 개인의 생활, 학습, 작업 환경의 분석
    • 개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양적, 질적 방법을 활용한다.
  • 평가 결과는 예언, 실험, 분류, 선발 등에 활용한다.
[3. 교육평가의 유형]
    [가. 평가기능에 따른 구분]
  • 진단평가(Diagnostic Evaluation)
    • 서로 다른 능력 수준에 있는 학생들의 출발점 행동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 교수의 범위와 수준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 학습의 예진적 기능(학습자의 학습능력, 학습동기, 선수학습 정도 확인)을 지닌다.
  •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 일련의 교수활동이 진행되는 도중에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 수업 과정에 초점: 쪽지시험, 과제 부여 등이 있다.
    •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강화, 학습곤란 진단 및 교정 기능이 있다.
  •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총합평가)
    • 학기초에 세웠던 수업목표에 비추어 학생의 목표 달성 정도를 파악할 목적으로 한다.
    • 수업 결과에 초점: 학기말, 학년말 평가 등이 있다.
    • 학습 성과에 대한 정보 제공을 한다.
    [나. 평가기준에 따른 구분]
  •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
    • 규준을 설정하여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평가 방식이다(비교집단 존재, 우열의 판정, 서열이나 상대적 위치 등).
    • 규준(Norm)이란 원점수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잣대(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에서 얻어진 점수, 평균)이다.
    • 상대평가, 선발목적의 평가에 유용하다. '얼마나 성취했는가?'의 문제이다.
  • 준거지향평가(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 학습목표등의 절대적인 준거에 비추어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확인하는 평가이다(목표의 달성도 검토).
    • 준거(Criterion)란 학습자가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다고 대중이 확신하는 지식 혹은 기술 수준(자격증 부여의 판단 기준)이다.
    • 절대평가, 목표지향평가, '무엇을 성취했는가?'의 문제이다.
    [다. 평가영역에 따른 구분]
  •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 지식, 이해력, 적용력, 분석력, 종합력, 평가력 등의 인지적 사고작용을 평가한다.
  •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 성격, 태도, 사회성, 도덕성 등과 같은 정의적 특성을 평가한다.
  • 심리운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
    • 실기평가처럼 학생의 신체능력이나 운동활동 등을 평가한다.
    [라. 시간제한 여부에 따른 구분]
  • 속도검사(Speed Test)
    • 학생이 일정한 시간 내에 검사를 치르도록 시간을 제한하는 검사이다.
    • 평가결과를 선발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 모든 학생이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을 치르도록 한다.
    • 학생의 학업성취를 변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역량검사(Power Test)
    • 학생이 검사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하는 검사이다.
    • 학생의 능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데 도움을 준다.
[4. 교육평가의 모형]
    [가. 목표중심 평가 모형]
  • 타일러(Tyler)
  • 이 모형의 교육평가는 설정된 교육목표에 따라 적합한 교육 내용이 교수되고,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실제로 교육목표가 실현된 정도를 가늠하는 과정이다.
  • 목표중심 평가모형
    • 교육목표 설정 → 학습경험 선정 → 학습경험 조직 → 학습성과 평가   
    [나. 경영적 평가 모형]
  • 스터플빌(Stufflebeam)
    • 평가를 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을 돕는 과정으로 본다. 의사결정적 접근과 의사결정모형이 있다.
    • 이로 인해 이 모형의 교육평가는 교육행정자가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관리적 기능)으로 정의한다.
  • 평가모형: CIPP 모형
    • 의사결정유형: 계획단계 - 구조화단계 - 실행단계 - 결과단계
    • 평가의 유형: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 대학평가, 교육청평가, 학교평가 등 기관평가에서 활용한다.
    [다. 탈목표(Goal-free) 평가 모형]
  • 스크리븐(Scriven)
  • 교육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를 중시한다.
    • 교육목표달성 여부, 예상되는 결과, 의도되지 않은 부수적인 효과, 교육관계자에게 미치는 효과, 유용성의 범위, 도덕적 고려사항, 비용 등
    • 이로 인해 이 모형의 교육평가는 미리 설정된 교육목표 이외의 다른 유용한 기준도 반영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평가로 정의한다.
      • 목표실현 정도의 평가를 넘어 교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결과의 가치판단까지 중시한다. 이는 타일러식 접근법이 교육효과에 의한 평과를 간과한다는 점을 보완하는 접근법이다.
  • 전문가로서 평가자의 역할이 강조된다.
    [라. 비평적 평가 모형]
  • 아이스너(Eisner)
  • 교육비평이란 평가로 예술작품을 비평하듯 교육현상을 기술하고 해석하며 판단을 내리는 행위를 정의했다.
    • 감상: 사물에 대한 경험을 깨닫고 느끼며 이해하는 개인적 차원의 행위
    • 비평: 자신이 이해한 바를 새로운 시각에서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사회적 행위
    • 비평적 평가: 현상을 기술, 해석, 판단하는 행위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 평가자의 전문성 확보를 중시한다.
    • 평가자의 전문성이 평가 결과의 타당성과 합리성 확보의 주요 요건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교육학개론] 8. 교육과 평등

[교육학개론] 2. 교육의 개념, 요소, 형식, 목적

[교육학개론] 6. 교육과정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