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20의 게시물 표시

[네트워크관리사] 목차

[Part 1] 네트워크 일반 Sec 01. 네트워크 개요 Sec 02. 근거리 통신 기술 Sec 03. 데이터 통신 Sec 04. 광대역 기술 [Part 2] TCP/IP Sec 05. OSI 7계층 Sec 06. TCP/IP 계층 Sec 07. 응용 프로토콜 [Part 3] NOS(Network Operating System) Sec 08. 윈도우 시스템 Sec 09. 윈도우 서버 Sec 10. IIS 서버 Sec 11. DNS 서버 Sec 12. 액티브 디렉터리 Sec 13. FTP Server Sec 14. 리눅스 [Part 4] 네트워크 운용기기 Sec 15. 네트워크 서버 운영 Sec 16. 네트워크 회선 운영 [Part 5] 정보보호 개론 Sec 17. 정보보호 개요 Sec 18. 인터넷 보안 Sec 19. 정보보안 시스템 Sec 20. 시스템 공격 기법

[교육학개론] 9. 공교육제도의 태동과 전개, 그리고 미래

[학습목표] 공교육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공교육제도의 형성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공교육 위기 현상 및 그 대안으로 나타난 현상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 공교육의 개념]      [공교육] 공교육제도 서구 근대사회에서 발달한 제도로서 국가(혹은 준국가적 자치조직)의 통제, 관리와 지원에 의해서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교육 제도이다. 공교육제도의 특징 국가의 통제, 관리 및 지원을 받는다.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해 보편성과 평등성을 지닌다. 교육의 사회적 유용성으로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받는다(무상성, 의무성). 교육내용의 중립성과 보편성을 지닌다.     [공교육 & 사교육] 공교육 교육과정, 교육수준, 자격 등이 제도화 되어 있다. 정부에 의해 통제되며 학력이 인정되고, 학위를 수여받으며 공공기관, 정부에서 재정을 부담한다. 사교육 비제도화 되어 있다. 학력이 인정되지 않고, 교육 사업의 자율적인 원칙으로 이윤을 추구하며 자체적인 재원 조달이 이루어진다. 한국 vs. 서구     한국(광의의 공교육): 국 ·공·사립의 각급 학교를 포함하는 국가가 관장하는 제도권 교육이다(공교육 = 제도교육, 사립학교 포함). 서구(협의의 공교육): 국가와 공공단체가 설립·운영하는 국·공립 학교 교육이다(사립학교 제외). [2. 공교육제도 태동의 배경]      [가. 국민형성과 국민통합] 근대 민족국가의 유지·발전을 위한 국민형성과 국민통합의 필요성 절대왕정의 붕괴와 민족국가의 발전으로 인해 시작되었다. 국가에 충성하는 유능한 국민을 양성하기 위해 19세기 후반부터 유럽 국가에서의 초둥교육을 대중화했다. 국민을 하나로 결속시키는 통일된 규범, 사고 방식, 지식 체계가 필요했다. 의무 교육 제도가 발전했다. 18세기 이후 시민혁명과 근대 국가의 형성: 교회가 수행하던 이데올로기 통합의 기능을 담당할 새로운 사회적 제도의 필요와 이에 부응하여 등장한 것이 공교육제도 이다.      [나. 평등사상의 확산] 평등사상: 시민혁명의 이념적 기반 소

[교육학개론] 10. 교육과 직업성취

학습목표 선발 및 배치 이론을 통해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직업지위를 결정하는 주요 원리인 학력주의와 능력주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 교육과 직업 세계의 설명 이론] 교육의 사회적 선발-배치 기능: 교육은 직업 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사람을 선발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력양성이론: 교육이 직업 세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질을 길러준다. 선별가설, 직무경쟁이론: 교육은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자질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사람을 찾아내게 하는 신호 기능이지만, 직업위계 서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를 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 인력양성 이론]          [기술기능이론] 클라크(Clark), 커(C. Kerr) 산업사회에서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술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학교 교육은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술을 훈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요구되는 교육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그로 인해 학교교육이 팽창한다. 이론의 한계 직업세계의 기술수요와 교육수준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과잉교육, 하향취업, 교육(학력)인플레이션, 고학력 실업, 전공불일치 현상이 일어난다.          [인간자본론] 슐츠(Schultz), 베커(Becker) 인간을 자본(human capital)으로 간주한다. 교육을 인간자본에 대한 투자로 본다. 인간이 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갖추게 되면 생산성이 향상되어 임금이 상승하고, 이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인다. 이론의 한계 교육투자의 정당성을 부여하는데는 기여했지만, <학력에 의한 임금차이 = 교육에 의한 지식/기술 차이 = 생산성 차이>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나. 선별가설] 교육은 훈련 가능성을 나타내주는 신호(signal) 역할이다. 졸업장은 생산성의 증거가 아니라 하나의 '상징적 자격증'에 불과하다. 교육은 개인을 능력에 따라 분류하고, 이 능력을 졸업장이라는 '딱지

[교육학개론] 11. 교육행정의 접근과 교육조직의 운영

[학습목표] 교육행정 및 관련 개념을 알 수 있다. 교육행정에 접근하는 주요 이론에 대해 알 수 있다. 교육조직의 실제와 운영에 대해 알 수 있다. [1. 교육행정의 개념과 원리]      [가. 교육행정의 필요성] 교육행정은 학교의 제도화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학생 인구의 급증에 따른 교사와 교직원 수의 증가, 학교의 신설 등에 따른 학교의 대규모화에 있다. 그런 대규모화된 학교체제에 대한 전문적 관리가 필요해졌다.      [나. 교육행정의 대상] 교육행정은 학교, 교육청, 교육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교육행정의 대상은 사회적, 공공적, 조직적 활동으로서 교육을 받는다. 사회적: 교육의 목적, 조직, 소재, 방법 등이 사회적으로 규정되고 제도교육이 사회적 맥락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공공적: 교육이 사적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다. 조직적: 교육활동의 규모가 커지면서 교육이 방대하고 복잡한 조직의 틀 속에서 이루어진다. 교육행정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교육목적 및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인적-물적 조건을 정비-확립하며, 교육 목표의 달성을 위해 지도-감독하고 봉사하는 활동이다.      [다. 교육행정의 개념] 교육에 관한 행정 정부가 수행하고 있는 전체 행정의 한 분야로서 교육이라는 한정된 분야에 관한 행정이다. 입법 작용을 통해 법정화된 교육정책을 실현하는 공권적 작용이다. 일반 행정의 전문성을 강조한다. 교육을 위한 행정 교육을 지원하는 활동으로서의 행정 & 교육을 위한 조건정비와 봉사로서의 행정이다. 교육 활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인적-물적 조건을 구비하는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교육활동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강조한다. 교육행정의 봉사활동, 기술적 측면, 정치적 중립 등을 강조하지만 행정의 권력적 측면이 소홀해진다. 교육에 관한 행정에서 교육을 위한 행정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교육에 관한 행정인 동시에 교육을 위한 행정이 바람직하다.

[교육학개론] 12. 교직과 교사

[학습목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특성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1. 교직의 특성]      [가. 교직에 대한 관점] 성직관: 교직을 성직처럼 신성한 직업으로 접근하는 관점이다. 도덕적, 인격적 감화를 주는 본보기의 대상으로 교사를 바라본다.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도 않는다. 군사부일체. 노동직관: 노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직업적 측면으로 교직에 접근하는 관점이다. 전문직관: 교직은 전문적인 서비스 기능을 담당하며, 고도의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직업으로 접근하는 관점이다. 장기간의 전문적인 훈련과 엄격한 자격을 요구한다. 자율성이 보장되나 책임도 따른다. 상대적으로 높은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보상을 확보하기 위한 자치조직을 가지며, 엄격한 윤리강령 준수를 요구한다.      [나. 교직의 전문성] 유네스코(UNESCO)와 국제노동기구(ILO)의 『교원에 관한 지위 선포(1966)』: 교직은 전문직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작성되어 있다. (권고안 제 6항) 교직을 준전문직으로 보는 관점이다. 다른 전문직에 비해 교직이 고도로 체계화된 지식이나 기능을 축적하고 있지 못한 점, 낮은 사회계층적 지위, 낮은 수준의 자율성, 직무구조의 단순성, 관료적 통제 등의 특성이다. 교직의 전문성은 학생을 가르치는데서 드러난다.      [다. 교직윤리] 교직윤리는 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교육현장에서 지켜야 할 윤리 규범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의미의 교직윤리는 여러 가지 범주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학생에 대한 윤리: 학생의 인격과 권리를 존중해주어야 한다. 동료교사에 대한 윤리: 동료교사에 대한 존중과 권위를 보호해주어야 한다. 학부모에 대한 윤리: 교육 동반자로서 학부모와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학교조직에 대한 윤리: 학교조직의 과업을 성실히 수행할 의무가 있어야 한다. 교직 공동체에 대한 윤리: 교직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며, 공동체 의식을 가지며, 행동을 절제하고 품위를 유지해야 한다. 국가사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