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3. 인간발달과 교육
[학습목표]
- 인간의 발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설명할 수 있다.
- 유전과 환경이 어떠한 방식으로 인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고, 관련 이론 및 개념들을 설명할 수 있다.
[1. 인간 발달의 특징]
[가. 가소성]
- 가소성이란 변형 가능한 성질, 변화 가능성을 일컫는다.
- 인간은 원하는 대로 다양한 모습으로 발달이 가능하다.
- 가소성이 높다는 것은 발달의 결과로 나타나는 다양성의 폭이 큼을 의미한다.
- 이는 인간발달에의 환경적 영향을 전제하며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나. 자기교정성(Self-Righting Tendency)]
- 자기교정성이란 자기 스스로를 교정할 수 있는 힘이다.
- 인간은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고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
- 교육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자기교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어릴수록 생물학적인 조건의 영향을 받지만 나이가 들수록 환경적 영향이 우세하다.
[다.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
- 개인차란 발달의 과정에서 각 개인이 나타내는 시기나 정도의 차이를 일컫는다.
- 일정 정도의 개인차는 정상적인 발달로 간주한다.
-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이 필요하다.
- 교육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이다.
- 인간의 발달과정에는 개인 간 차, 개인 내 차, 스타일의 차이가 존재한다.
- 개인 간 차: 개인 간의 차이, 개인들의 능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 개인 내 차: 한 개인이 가진 여러 능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 스타일의 차이: 성격, 취미, 기호, 습관 등 우열을 따지기 어려운, 비교가 불가능한, 혹은 비교의 의미가 없는 차이이다.
[2. 유전과 환경]
[1. 반응범위 모형]
- 다중유전(Polygenic Inheritance)
- 하나의 유전자가 아닌 여러 유전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부모-자녀간 유사성을 띤다.
- 반응범위(Range of Reaction)
- 유전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전해진다.
- 예를 들어, 자녀의 지능은 부모의 지능을 중심으로 어느정도의 발달 범위가 정해지고, 그 범위 안에서 환경적인 영향에 의해 최종적인 특성이 정해진다.
- 반응범위가 좁다면 유전적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환경의 영향은 적게 받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2. 수로화 모형]
- 수로화(Canalization)
- 유전자에 의해 발달이 특정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도록 제한되는 현상이다.
- 수로는 유전적으로 결정된 발달의 경로를 나타낸다.
- 수로의 깊이는 유전적 영향의 크기를 나타낸다.
- 신체발달은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반면, 정서나 사회성 발달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통시적 상호작용]
- 통시적 상호작용(Transaction)
- 유전이나 환경의 영향은 늘 일정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 발달의 시기에 따라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힘의 상대적 시기를 표현한다.
- 어릴 때일수록 유전이 발달을 크게 좌우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환경의 영향이 유전적 영향보다 커진다.
[3. 인지 발달]
- 인지(Cognition)란 머리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지적 과정이다.
- 인지적 특성은 지능(일반능력), 적성(특수능력), 학력(학업능력), 창의력(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이 있다.
- 인지적 특성 중 가장 보편적인 개념은 지능(Intelligence)이다.
- 지능은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정신능력이다.
[지능에 대한 다양한 정의(황정규, 1984)]
-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적응능력)
- 학습하는 능력(학습능력)
- 추상적 사고를 수행하는 능력
- 여러가지 능력의 혼합
[1. 피아제 이전의 견해]
- 피아제 이전의 초기 심리학자들은 지능을 양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 지능의 실체 파악 & 지능의 측정에 관심이 있었다.
- 지능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지능 측정을 위한 지능검사를 개발하려 노력했다.
- 지능의 구성요소
- 스피어맨(Spearman, 1927): 2요인설
- 일반(g) 지능요인 (예시로 언어능력이 있다.)
- 특수(s) 지능요인 (예시로 기계적 능력이 있다.)
- 써스톤(Thurstone, 1938): 지능의 다양한 하위 영역
- 기초정신능력: 언어이해력, 수시력, 추리력, 공간능력, 지각속도, 어휘유창성, 기억력
- 길포드(Guilford, 1988): 지능의 3가지 차원
- 사고의 내용, 다양한 종류의 사고방식(조작), 사고의 결과로 도출되는 것(산출)
- 카텔(Catell, 1971) & 혼(Horn, 1982): 지능의 2요인
- 유동적 지능: 선천적 능력 (예시로 언어적 유추, 추리력이 있다.)
- 결정적 지능: 교육이나 훈련에 의한 후천적 능력 (예시로 언어적 지능, 특정 분야에서 터득한 능력이 있다.)
- 지능검사
- 비네 검사(프랑스): 1905년 아동 선별 목적 최초의 기능검사가 도입되었다.
- 스텐포드·비네 검사(미국): 1916년 지능지수(IQ) 개념을 도입했다. 언어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 웩슬러 검사: 1939년 편차 IQ를 도입하였고,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 Army α 검사(1917), Army β 검사(1920): 집단지능검사로 오티스와 터먼에 의해 처음 제작되었다.
- 특히 Army β 검사는 문맹 군인을 위한 비언어적(동작성) 검사이다.
- 지능검사 해석 시 유의사항
- 지능검사를 포함한 모든 심리 검사에는 특정의 오차가 존재한다.
- 지능검사가 인지적 능력 전체를 대변하지 못한다(창의력).
- 지능발달의 속도는 개인마다 차이를 보인다.
- 오래된 지능 검사지를 사용할 경우 평균인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다.
[2. 삐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삐아제(Jean Piaget, 1896-1980)
- 스위스의 심리학자
- 인간의 인지발달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 "생물적 유기체가 지적인 인간으로 발달하게 되는 것인 사물을 인지하는 구조의 질적인 변화를 계속하기 때문이다." "인지발달이란 인지구조의 계속적인 질적 변화의 과정이다."
[인지발달의 메커니즘]
- 지능은 유기체가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다.
- 인지발달은 인지구조가 바뀌는 것이다.
- 인지구조는 도식(Schema)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화와 조절을 통해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 인지구조의 변화: 평형 - 동화 - 평형의 깨짐 - 조절 - (새로운) 평형
[인지발달 단계론]
- 감각운동기(Sensori-Mortor period): 0-2세
- 생물학적 적응 단계로 모든 지각의 방식은 감각과 행동(운동)을 통해서 일어난다.
-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
- 조작(인지적 문제해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계이다(자기중심성 등의 이유로).
- 자기중심적 사고, 직관적 사고
- 구체적 조작기(Concreate operational period): 7-11세
- 완전한 조작(분류화 및 서열화)이 가능한 시기이다.
- 논리적인 사고력이 발달하지만, 그 사고과정 역시 아동이 관찰한 실제 사실에만 한정된다.
-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15세
- 가장 발달한 인지적인 조작단계이다.
- 추상적인 사물들에 대해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며 추상적인 언어를 통한 교육을 할 수 있다.
[3. 비고츠키의 문화적 심리학]
- 비고츠키(Vigotsky, 1896-1934)
- 러시아 심리학자이다.
- 인지발달의 근원은 사회에 있다.
- "각 사회에서 오랜 기간동안 형성된 사회정신을 내면화하는 것이 인지발달이다. 인지발달의 근원이 되는 사회정신은 역사적 산물이자 그 사회의 문화이다."
- 언어는 사회정신의 내면화로서 인지발달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 아동의 인지발달과정에서 주위 성인의 역할에 큰 비중을 둔다.
- 어린이의 발달수준
- 현 발달수준: 이미 발달이 완료된 상황을 일컫는다.
- 잠재적 발달수준: 교사의 도움이나 동료와의 협동을 통해서 문제해결이 가능한 수준이다.
[근접발달영역(ZDP: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아동이 스스로 도달할 수 있는 능력과 주변의 도움을 받아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구분하여 아동이 새로운 인지발달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활동(상호작용)이 일어나야 한다는 이론이다.
- 근접발달영역은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이다.
- 근접발달영역 내에 있는 내용이 곧 교육내용이다.
[4. 정의적 발달]
[인간의 정의적 특성]
- 정의적 특성이란 인간의 정서와 기질을 기초로 발달하는 비인지적 특성을 총칭하는 것으로 흥미, 태도, 가치관, 자아개념, 불안, 동기, 성격 등을 포함한다.
- 정의적 발달은 정서나 성격 등을 포함하는 비신체적·비인지적 특성들의 발달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다.
[1. 정서와 교육]
- 정서는 의식과 밀접한 관련, 기쁨과 슬픔, 두려움, 분노 같은 감정을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 교육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 정의적 특성으로 자율성, 순응성, 학습동기, 학습에 대한 흥미나 태도, 끈기와 인내 등이 있다.
[2. 정서발달]
- 정서의 근원
- 정서상태(Emotional state)란 자발적 반응과 같이 생리적 변화를 통해 측정 가능한 상태이다.
- 감정(Feeling)이란 주관적으로 느끼는 정서이다.
- 어린이 정서발달
- 1차적 정서: 놀람, 분노, 슬픔, 기쁨, 즐거움 등으로 생물학적·선천적 정서이다.
- 2차적 정서: 당황, 부끄러움, 죄책감, 부러움, 자부심 등과 같은 자기의식적(Self-conscious)정서, 자기평가적(Self-evaluate)정서이다.
[3. '자기'의 발달]
- 자기개념(Self-concept)
- 객체자기 vs. 주체자기
- 쿨리는 의미있는 타인(Significant others), 거울에 비친 자기(Looking-glass-self)를 제시하였다.
- 자기존중감(Self-esteem)
- 자기에 대한 평가의 의미이다.
- 어린 아동의 자기존중감은 부모의 양육방식에, 청소년기 이후에는 또래와의 비교나 누적된 성공이나 실패의 경험에 영향을 받는다.
- 지지적 가정환경, 명확한 규칙, 자율성 존중 등이 자기존중감 향상에 기여한다.
- 귀인방식(내부적 귀인 vs. 외부적 기인)
- 자기조절(Self-regulation)
- 행위의 중단: 하고 있는 일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할 때 그만두는 것이다.
- 충동의 억제: 순간적 감정을 억누르고 상황을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 만족의 지연: 미래의 더 큰 보상을 얻기 위해 현재의 작은 보상을 포기하는 것이다.